본문 바로가기
일상에 필요한 정보

유아 어린이 카시트 무료보급 대상 확인해보셨나요?

by 자동차에 관한 모든것 2023. 2. 16.

유아, 어린이 카시트 무료보급 한국어린이재단에서 가능합니다. 영유아, 어린이 자녀가 있다면 동승을 위해서 반드시 카시트가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가격 부담 때문에 망설이고 계신다면 조건과 내용 확인하시고 나도 해당되는지 꼭 확인해 보세요!

 

 

 


한국어린이재단 사업

카시트 무료보급 신청 방법

카시트 장착과 상해치


 

한국어린이재단 사업

  • 미착용 시 과태료
  • 무상 보급

6세 미만의 유아가 자동차 탑승 시 카시트를 착용하지 않았다면 6만 원 과태료 대상입니다. 아이의 안전과 불필요한 지출을 위해서도 카시트는 꼭 착용하셔야 됩니다.

 

하지만 금액적인 부담 때문에 구매에 부담을 갖는 분들을 위해 한국어린이재단에서 저소득 및 사회적 취약계층 그리고 다자녀 가정을 대상으로 무로 보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09년 까지는 무료 보급을 하였고, 현재는 대여가 아닌 보급으로 바뀌어 반납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카시트 무상보급
카시트 무상보급

 

카시트 무료보급 신청 방법

  • 신청 자격
  • 선정 기준

3세 이하(영유아용) 또는 4세 이상 7세 이하(주니어용)의 자녀가 있어야 합니다.

 

배기량 2,000cc 미만의 승용차를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아쉽게도 승합, 화물, 외제차, 전기차 그리고 특수차량은 신청할 수 없습니다.

 

신청자가 많을 경우 순위에 따라 당첨 여부가 달라지게 됩니다. 순위는 1순위부터 7순위까지 있습니다.

한국어린이안전재단 유아 주니어 카시트 무상보급 안내 바로가기

 

카시트는 무료보급이기 때문에 반납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단 수령 시 7천 원의 택배비는 부담하셔야 되며, 무료보급품이기 때문에 타인에게 양도 또는 판매는 금합니다.

 

 

카시트 장착과 상해치

  • 부위별 상해치
  • 필수 착용

국토해양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유아 3~6세의 경우 카시트 장착 후 사고 발생 시 상해도는 머리 2%, 흉부 7.5%, 목 2%입니다. 하지만 미장착 시 머리 99.9%, 흉부 43.8%, 목 939.%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또 사망사고 역시 영유아 71%, 3~6세 54%의 감소효과 역시 통계치로 발표되었습니다. 카시트를 설치하느냐 안 하느냐는 선택이 아닌 필수임을 이성적으로도 감성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의 안전을 생각한다면 카시트의 설치와 착용은 반드시 지셔야 하니 혹 무료보급에 해당하지 않다면 구매해서라도 착용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꼭 알아야 할 내용

- 폐차장 부품 구입 방법은 이렇게 하세요!

- 개인 중고차 직거래 방법 알고 계신가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