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오는 날 자동차 실내와 실외의 기온 차이로 앞유리에 습기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올바른 방법을 알지 못해 운전하는 동안 습기제거를 위해 애쓰는 모습을 가끔 보게 됩니다. 혹시 평소 습기가 잘 제거되지 않았다고 느끼셨다면, 오늘 올바른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차 앞유리 습기
유리 열선 버튼 기능
따뜻한 바람 vs 찬바람
차 앞유리 습기
- 습기발생
- 안전한 운행
실내와 실외의 기온 차이로 앞유리, 뒷유리 그리고 사이드미러에 습기가 발생합니다.
안전한 운행을 위해서도 올바른 방법으로 빠르게 습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 방법을 잘 알지 못해 운전하는 내내 습기 제거를 위해 노력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방법을 알면 참 간단합니다.
유리 열선 버튼 기능
- 앞유리 열선 버튼
- 리어 열선 버튼
앞유리 열선 버튼 작동 시 에어컨과 앞유리 열선이 작동됩니다.
앞유리에는 찬바람으로 습기를 제거하게 되며 동시에 열선으로 전체적인 윤곽의 온도를 따뜻하게 합니다. 열선의 역할은 와이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입니다.
리어 열선 버튼을 누르게 되면 모든 열선이 동시에 작동됩니다. 앞유리, 뒷유리 그리고 사이드미러의 열선이 작동됩니다.
때문에 리어 열선 버튼을 누르는 것 만으로 모든 습기는 제거됩니다.
따뜻한 바람 vs 찬 바람
- 찬 바람
- 따뜻한 바람
따뜻한 바람과 찬바람 어떤 걸 이용해야 차 앞유리 습기가 잘 제거될까요? 장'단점 알려드리겠습니다.
앞유리 열선 버튼을 누르면 에어컨이 작동되는 걸 보면 찬바람을 이용해 습기를 제거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장'단점이 있습니다.
찬바람을 이용해 앞유리 습기 제거 시 빠른 제거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앞유리에 습기가 끼기 때문에 와이퍼를 운전하는 내내 작동시켜야 합니다.
따뜻한 바람을 이용해 앞유리 습기를 제거할 경우 온도가 오르기까지 일정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하지만 온도 상승 이후에는 더 이상 와이퍼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장시간 운행 시 시야 확보에 유리합니다.
꼭 알아야 할 내용
댓글